<p></p><br /><br />Q. 여량야랑 이민찬 기자 함께 합니다. 첫 번째 주제 '백신 주사기 홍보대사?' 정치권에서 백신 주사기 홍보대사를 자처한 분이 있어요.<br> <br>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예비후보입니다. <br><br>Q. 다음 주부터 백신 접종이 시작되죠. 국가적 현안이긴 한데, 서울시장 선거와 백신 주사기가 어떻게 연결되는거죠?<br> <br>국내 업체가 주사기에 남아있는 백신의 양을 최소화하는 기술로 미 FDA 승인을 받았죠. <br> <br>일본 등 전 세계 20여개 국가에서 이 특수주사기를 극찬하며 앞다퉈 구매요청을 해 화제가 됐는데요. <br> <br>박영선 후보가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시절 업체에 주사기 개발을 도와 코로나 방역에 일조했다는 점을 부각하려는 듯한데요. <br><br>[박영선 /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예비후보] (지난 14일) <br>백신 접종이 시작되면 우리가 특수 주사기를 사용하는데요. 중기벤처기업부 장관으로 있을 때 정말 혼신의 힘을 다해 만들었던 <br> <br>[박영선 /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예비후보] (지난 17일) <br>그 혁신적인 주사기 제가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으로 있을 때 마지막으로 한 일인데요. <br><br>그제 SNS에는 "일본에게 주사기를 보내야 하나 말아야 할까?"라고 물으며 일본보다 우수한 기술력을 우회적으로 강조하기도 했습니다. <br><br>Q. 장관 재임 시절 성과라면 마땅히 평가 받아야할텐데 야당에선 현재 위치와 맞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와요? <br><br>허은아 국민의힘 의원은 SNS에 "주일 한국대사 출마하시나요?"라며 "다 된 주사기에 숟가락 얹기 좀 그만하라"고 적었습니다.<br> <br>그러면서 서울시민들은 박 후보의 일본 부동산 처분 여부가 더 궁금할 것이라고 했습니다. <br><br>Q. 박영선 후보 남편이 소유한 도쿄 집을 저격한거군요. 그런데 우리 국민들은 이 주사기로 백신을 맞는 건 아니라면서요?<br> <br>정부는 지난달 다른 업체 2곳과 주사기 4000만개 공급 계약을 마쳤는데요. <br><br>당시만 해도 이 업체는 물량 공급 여부가 확실치 않았고 가격도 다른 곳보다 4배 가량 비쌌다는 이유에서입니다. <br>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'웰빙정당의 실체?' 문재인 대통령의 전 국민 위로지원금 발언이 정치권에 논쟁을 불러왔네요. <br><br>지난 19일이죠. 문재인 대통령은 민주당 지도부와 만난 자리에서 이런 얘기를 했습니다. <br><br>[강민석 / 청와대 대변인] (지난 19일) <br>문재인 대통령은 코로나에서 벗어날 상황 되면 국민위로지원금, 국민 사기진작용 지원금 지급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. <br> <br>국민의힘은 4월 재보궐 선거, 더 나아가 내년 대선까지 염두한 발언이라며 비판을 쏟아냈습니다. <br><br>유승민 전 의원은 "매표행위"라고 했고, 나경원 국민의힘 서울시장 예비후보는 "노골적인 관권선거"라고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윤희숙 국민의힘 의원은 "대통령님 개인 재산으로 주실꺼죠"라고 비꼬았습니다. <br><br>Q. 야당의 문 대통령 비판에 이재명 지사가 발끈한 게 눈에 띄어요? <br><br>이재명 지사 매표행위라는 지적에는 "국민을 '돈 뿌리면 표 주는' 원시유권자로 본 것이라고 맞받았고, 대통령 사재로 지급하라는 글에는 "대통령에 대한 모독"이라고 주장했습니다.<br> <br>그러면서 부자정당 정치인들이 재정지출을 조금만 늘려도 나라가 망할 것처럼 호들갑 떨고 있다고 적었습니다. <br> <br>친문 지지자들을 향한 일종의 구애작전이라고 볼 수도 있겠습니다. <br><br>Q. 확장재정으로 위기를 극복해야 한단 주장도 일리 있지만, 재정건전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무시할 순 없지 않을까요? <br><br>김웅 국민의힘 의원은 SNS에 국가채무를 얘기하면 선거 승리가 다급하지 않은 웰빙 정당이라고 조롱받지만 누군가는 미래를 이야기 해야 한다고 적었는데요.<br> <br>2030년 우리나라 국가 채무가 2000조원을 넘어설 것이란 국회 예정처 분석을 언급한 겁니다. <br> <br>그래서 오늘의 여랑야랑은 '균형감각'으로 정해봤습니다. <br><br>Q. 코로나 위기 극복과 재정건전성 사이에서 묘수를 찾아야겠네요.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